일단 이 글은 나름 옷을 잘 입고
패션 감각이 있다고
자부하는 사람은 예외로 한다.
그리고 나도 어디 내 세울 만큼
옷을 잘 입는다고 자부하지는 않는다.
다만, 아직도 이 땅에는 패션 감각이 없어서,
애인이 없는 남성들이 있기 때문에
작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여 이 글을 쓴다.
옷 입는 게 애인 생기고 안 생기는 것과
무슨 상관이냐 생각하는 사람은
일단 반성을 조금 해야 한다.
남자 기준으로 한번 생각을 해보자.
길에서 S라인 몸매가 드러나는
스키니 진을 입은 여성이나
미니스커트, 핫팬츠를 입은 여성을 보면
남자들의 눈이 돌아가는 것과는
조금 다를 수도 있지만,
여자도 남자가 멋진 옷을 입은 모습을 보면
눈길이 가게 마련이다.
몸에 잘 맞는 정장 차림에
흰색 와이셔츠 입은 모습을 봤을 때
반하기도 하고
워싱이 예쁘게 된 청바지에
회색 티셔츠 입은 모습을 봤을 때
그 매력에 사로 잡히기도 한다.
하지만 맨날 저런 옷들만 입을 수도 없고
청바지에 티셔츠가 어울리려면
기본적으로 몸매가 되어야 한다.
이 땅의 평범한 남성들은
무난하면서 깔끔한 스타일을 추구하는 게
가장 최선의 선택이라 생각한다.
그럼 어떤 것이 무난한 스타일일까?
어려운 문제이기도 하지만
몇 가지 생각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옷 입은 스타일이 너무 튀지 않는가?
옷 스타일이 튄다는 것은
때와 장소에 맞지 않는 스타일이다.
중요한 모임에 참석하는데
힙합 복장으로 가는 것도 웃기고,
등산을 가는데 정장을 입고 가는 것은
등산객들의 시선을 집중시키기 딱이다.
자신이 가려고 하는 장소에 가장 어울리는
스타일의 옷을 입는 것이 첫 번째다.
2. 옷에서 너무 싼 티 나지는 않는가?
경제적인 여건을 생각한다면
저렴한 옷을 사야 하겠지만,
그래도 나름 스타일을 살리기 위해
옷을 입는 것이라면
너무 저렴해 보이는 옷은 피하는 게 좋다.
옷감도 고급스러워 보이면 좋고
이왕이면 약간 가격대가 있는 옷이 어떨까?
3. 색상이 너무 화려하거나 어색하지 않은가?
옷은 한벌로 입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색상을 잘 매치시켜야 한다.
미대를 전공했거나 디자인을 전공한 사람은
당연히 알겠지만 색상의 조화라는 것은
결코 무시할 수가 없다.
모든 색상에는 조화로운 색과
조화롭지 않은 색이 있다.
하루아침에 그 감각을 키우긴 어렵겠지만
인터넷 패션 카페나 패션 잡지를 통해
모델들이 어떤 색상의 옷들을
매치시켜서 입었는지 많이 보고 연구하자.
예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청바지에 청자켓을 매치시켜서 입는 사람이
꼴불견이다라는 설문조사도 있다.
70-80년대에는 멋있었을지 모를 패션이지만
지금은 결코 아니라는 것이다.
4. 신발은 패션의 마무리
신발은 정말 중요하다.
정장 바지에 운동화를 신는 것은
상상할 수가 없다.
청바지에 반짝반짝 광이 나는
구두를 신는 것도 정말 어색하다.
지금 자신이 입은 바지에
어떤 신발이 가장 잘 어울릴까
한번 생각해 보자.
면바지에는 화려한 무늬의 운동화보다는
단색 계열의 운동화가 어울리는 경우가 많다.
한 가지 명심해야 할 것은
신발을 결코 무시하지 말자는 것이다.
요즘 유행하는 스타일은 무엇인지,
어떤 스타일이 자신에게 어울리는지
부단히 연구하고 거울을 자주 보는
습관을 키우다 보면
남들로부터 어느 순간 "옷 잘 입네?"라는
소리를 들을 수 있을 것이다.
'연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애비법 18탄 - 연애를 하려면 무조건 많이 사귀어 보자. (0) | 2018.04.10 |
---|---|
연애비법 17탄 - 인기녀가 되고 싶다면 이런 여자가 되지 말자. (0) | 2018.04.10 |
연애비법 16탄 - 좋아하는 여자에게 좋아한다 말하는게 잘못인가? (0) | 2018.04.10 |
연애비법 15탄 - 일중독에 빠진 그대여, 연애를 하라 (0) | 2018.04.10 |
연애비법 13탄 - 키가 작은 남자도 '매력남'이 될 수 있다 (0) | 2018.04.10 |
연애비법 12탄 - 나쁜 남자가 좋나? 착한 남자가 좋나? (0) | 2018.04.10 |
연애비법 11탄 - 여자들이 명품을 좋아하는 이유에 대한 생각 (0) | 2018.04.10 |
연애비법 10탄 - 남자친구에게 주면 좋아 할 만한 선물 15가지 (0) | 2018.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