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야근.

월화수목금금금.

한 번쯤은 들어봤을 거다.


주로 IT업계에서

주말도 없이 근무하는 환경을 빗대어 한 말이다.

대체적으로 야근을 많이 하는 업종으로는

IT, 금융, 건설 쪽이라고 한다.


반면 야근이 비교적 적은 업종은

공무원이나 교대 근무를 하는 직종이다.

야근은 밤 야(夜) 자에 근무할 근(勤) 자이고
사전적 의미는 퇴근 시간이 지나

밤늦게까지 하는 근무다.

그렇다면 왜 퇴근 시간이 지났는데

밤늦게까지 근무를 할까?

물론 여러 가지 이유나 사정이 있겠지만

몇 가지 생각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퇴근 안 하는 상사

한국은 유교 사상이 뿌리 박혀 있어

웃어른께서 퇴근을 하지 않으면
먼저 간다는 소리 하기가 껄끄럽다.


상사는 도대체 뭘 하길래 퇴근하지 않을까?
집에 가면 가족들이 왕따시키나?

 

회사에 대한 열정

회사를 발전시키고자 하는 마음에

집에 가도 마음이 편하지 않다.


내가 집에 가서 놀거나 잠을 자는 시간에

경쟁 회사들이 더 잘 되진 않을까 하는 두려움?


회사의 발전을 위해선

내 한 몸쯤은 희생하자는 생각?

 

과도한 업무 스케줄

이건 도대체 사람이 근무 시간 내에 할 수 있는 일일까?
미리 야근을 염두에 두고 나온 업무 스케줄로

야근을 안 하곤 못 배긴다.


아님 슈퍼맨이 되어 아무리 과도한 스케줄이 나와도

다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수당 받기

야근 수당을 주는 회사도 있고 안주는 회사도 있겠지만
수당을 주는 회사를 다니고 있다면

수당을 받고자 하는 욕심이다.


얼마 안 되는 월급에 그나마 수당이라도 더해지면

월급날 마음이 뿌듯하다.

 

CEO의 마인드

CEO가 직원들이 야근을 해야

회사가 성장할 수 있다는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다면
어쩔 수 없이 직원들은 야근할 수밖에 없다.


이 외에도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사실 야근 자체는 절대로 없어질 수도 없고

없어져서도 안된다.


학교 다닐 때도

시험 전 날 공부한다고 밤샘할 때도 있고,


회사에서도 중요한 발표회 전에는

막판 스퍼트로 야근을 할 수 도 있다.

하지만 만연화 된 야근은?

글쎄다.

야근을 하지 않으면 → 외식도 하고 쇼핑도 함

→ 경제 활성화.


야근을 하지 않으면 →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냄

→ 행복 지수, 출생률 상승.


야근을 하지 않으면 → 운동도 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함

→ 국민 건강 지수 상승.

아무래도 야근을 하지 않으면

좋은 점이 많이 생길 듯하다.

 

야근에 찌든 삶보단

충분한 여가 생활을 하는 삶을 누구나 꿈꾼다.

야근을 안 하면 회사가 발전을 할 수 없는 건지,
반대로 야근을 하면

회사의 생산성이 더욱 높아지는 건지는 의문이다.

각종 통계수치나 연구 자료를 보면

야근을 많이 할수록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결과들이 많은 걸로 봐선
야근이 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온다고 볼 수만은 없을 것 같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