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회사를 다니다 보면 남들보다 몇 년 빨리
승진을 하는 사람들을 보게 된다.
주변에서는 남들보다 빨리 승진을 한 사람을
부러움의 눈빛으로 바라본다.
일단 고속승진을 한 사람은
회사로부터 인정을 받았기 때문에
고속승진을 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고속승진을 한 사람 역시
회사로부터 인정받았다는 생각에 기분이 좋다.
하지만 고속승진을 한 것이
반드시 좋다고 볼 수만은 없다.
승진을 하면 책임감도 커진다
일단 승진을 하였다는 것은
그만큼 책임감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사원보다는 대리가, 대리보다는 과장의 책임이 더 크다.
따라서 개인의 부담은 더 커졌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승진한 만큼 연봉이 오르고
주위로부터 인정받는다는 장점은 있겠지만
아직 승진할 준비가 완벽히 되지 않은 상태에서
승진만 한다고 해서 다는 아닐 것이다.
오히려 막중한 책임감이 부담으로 작용하여
회사를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다.
고속승진만 하면 편해지는가?
'게임은 레벨업을 할수록 어려워진다'는 말이 있다.
분명 레벨업을 하면 더 편하고 수월해져야 하는데
오히려 더 강한 적을 만나게 되고
게임의 난이도도 더 올라가게 된다.
회사생활도 마찬가지로 과장이 되고, 부장이 되면
더 편해지고 싶은 것이 사람의 욕심이자 마음인데
현실적으로는 더 막중한 책임감과 부담감으로
회사생활이 힘들어질 가능성도 있다.
고속승진을 원하는 사람은
그만큼의 각오도 필요할 것 같다.
반응형
'직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근 많이 하는 사람, 일 잘하는 사람? (0) | 2018.06.23 |
---|---|
힘든 직장생활, 행복하기 위해 일을 하고 있는 것이 맞는가? (0) | 2018.06.22 |
전문가가 많은 회사, 그런 회사가 발전한다 (0) | 2018.06.21 |
직장 인간관계, 좋은 사람과 일하는 것도 복이다 (0) | 2018.06.15 |
인재의 중요성, 사기가 높은 직원을 만들자 (0) | 2018.06.03 |
베이비시터 자격증, 맞벌이 부부 시대에 전망있을 듯 (0) | 2018.05.31 |
이직하고 싶을 때, 부서이동에 관해 생각해보자 (0) | 2018.05.17 |
실버생활복지사, 고령화 사회에 필요한 자격증인듯 (0) | 2018.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