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의 중요성에 대해 모르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현실에서 그 말을
실천하지 못하는 경우를 많이 본다.
직원을 마치 기계의 부품처럼 여겨서
쓸 만큼 쓰다 닳아버리면
다른 부품으로 갈면 된다는 생각이다.
상식적으로 두 사람 정도가 해야 할 만한 일을
한 사람에게 어떻게든 시켜놓고
결과가 나오기를 바란다.
그 직원은 어떻게든 해내려고 하지만
몸은 점점 축나고 결국
사표를 내버리는 경우도 있다.
그럼 그 일은 결국 새로운 사람이 하게 되고
그 일을 몇 년간 해온 숙련자는
회사 내에서 점점 없어지게 되므로
회사의 경쟁력은 저하된다.
회사에 전문가가 많을수록 바람직하다
회사에서 업무가 자주 바뀌는 것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 가지 일을 수년간 해온 사람이
회사 내에 많으면 많을수록
회사 전체가 물 흘러가듯이
업무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 일을 1년 정도 하고 또 저 일을
1년 정도 하면서 이것저것 하다 보면
전문가가 되기 어렵다.
물론 다른 분야의 일을 알면
업무에 도움이 되겠으나,
그것은 자신의 일에 대해
달인의 경지에 오르고 나서의 이야기다.
야근을 하지 않아도 회사가 잘 돌아가게 만들자
매일같이 야근을 하지 않으면
회사 업무가 되지 않는다고
불평하는 관리자들이 있다.
그런 사람은 자기 회사에
전문가라고 부를만한 사람이 있는지
먼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전문가가 많은 회사는
일상적인 야근을 하지 않아도
회사 업무가 돌아가야 하며
일과 여가가 조화롭게 이루어지는 회사는
장기적으로 훨씬 더 발전할 가능성이 많다.
또한 전문가를 키우기 위한 노력은 했는지
반성해 볼 필요도 있다.
임기응변식으로 한 사람에게
이 업무, 저 업무를 맡기면서
전문가로 육성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는 않았는지 하고 말이다.
'직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력서 사진 수정, 전문가에게 사진 수정 요청 하기 (0) | 2018.06.27 |
---|---|
깔끔한 성격, 그런 사람이 일도 잘한다 (0) | 2018.06.23 |
야근 많이 하는 사람, 일 잘하는 사람? (0) | 2018.06.23 |
힘든 직장생활, 행복하기 위해 일을 하고 있는 것이 맞는가? (0) | 2018.06.22 |
직장 인간관계, 좋은 사람과 일하는 것도 복이다 (0) | 2018.06.15 |
고속승진, 과연 좋기만 한 것일까? (0) | 2018.06.12 |
인재의 중요성, 사기가 높은 직원을 만들자 (0) | 2018.06.03 |
베이비시터 자격증, 맞벌이 부부 시대에 전망있을 듯 (0) | 2018.05.31 |